[표-3] OECD의 더 나은 삶 지수와 유한킴벌리의 노력
2020 한국 나은 삶 지수 (Better Life Index, BLI) | 유한킴벌리 대응 | ||
---|---|---|---|
일과 직업의 질 고용률과 임금격차, 장시간 근로시간으로 측정하는데 한국의 고용률은 OECD 평균인 76.5%보다 낮은 74.1%였으며 임금격차는 OECD 평균인 12.9%에 비해 매우 심각한 34.6%였습니다. | 고용률(평균) 전체 25-64세 인구 중 고용된 인구의 비율 | ![]() |
신규 채용자 수 2018년 34명 → 2019년 53명 |
성별 임금 격차(불평등) : 남성 임금 대비 성별 중위임금 차이를 남성 임금의 비율로 표현 | ![]() |
대졸신입사원 초봉 남녀 동일 원칙 준수: 남성 평균 임금 대비 여성 평균 임금 격차 2018년 27.5% → 2019년 24.9% |
|
환경의 질 대기오염 노출비율로 산출됩니다. 이 문항은 WHO 기준 대비 노출비율로 측정되는데 OECD 평균이 62.8%인데 비해 한국은 99.2%로 매우 높았습니다. | 야외 대기 오염 노출 (불평등) WHO 기준을 초과한 인구의 비율 | ![]() |
대기오염물질 NOx, SOx 발생률 0% (2011~2019년)_ 2011년 김천, 군포 소각로 철거 |
사회적 관계 이 문항은 사회적 교류시간과 사회적 지원 부족도(어려움이 생겼을 때 의지할 수 있는 주변사람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)를 근거로 산출됩니다. 사회적 교류시간이 OECD 평균인 6시간에 비해 낮은 4.9시간이었으며 의지할 대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19.2%로 OECD 평균 8.6%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. | 사회적 교류시간(평균) 주 당 시간 | ![]() |
저소득층 기저귀 기부_희망뱅크 2018년 5,289백 → 2019년 15,324백 생리대 기부 저소득층 청소녀_힘내라딸들아 2018년 146만 패드 → 2019년 108만 패드 |
사회적 지원 부족도 (불평등) 어려움이 생겼을 때 의지할 수 있는 주변사람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 | ![]() |
||
주관적 웰빙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지표로 10점 척도 OECD 평균은 7.4점이었으나 한국은 6.1점이었습니다. 또한 부정적 응답 비율이 OECD 13%에 비해 높은 17%였습니다. | 삶의 만족도(평균) 10점 척도 평균값 | ![]() |
사원 만족도 조사 실시(워라밸 항목) 2017년 77점 → 2019년 87점 우리 회사는 내가 직장 생활과 개인 생활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지원해준다. |
부정적 응답(불평등) 과거에 비해 부정적 감정과 상태라 응답한 사람의 비율 | ![]() |